녹색 물감처럼 보이는 이곳은 부산 낙동강 하류입니다. <br /> <br />이 물을 끌어다 만든 영남권 지역의 수돗물을 환경단체와 대학 연구팀이 분석해보니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녹조에서 검출되는 이 물질은 사람이 섭취하면 간과 신장, 최근에는 생식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캘리포니아 기준을 적용하면 최대 5배, 적게는 1.7배 수준의 마이크로스시틴이 부산과 대구, 경남 창원의 가정집과 식당 수돗물에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의 감시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, 먹는 물인 만큼,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게 환경단체의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[박창근 / 대한하천학회장 : 마이크로시스틴에 대해서 가장 보수적으로, 그리고 생식 기능까지 고려해서 적어도 캘리포니아 기준을 우리나라에 도입해야 하지 않겠나….] <br /> <br />이에 대해 지자체와 환경부는 국내 기준치 이하인 데다, 수돗물의 검사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며 지자체 조사에서는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돗물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뚜렷한 가운데 갈수록 심해지는 낙동강 녹조가 근본적인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강물을 가둬두는 보의 수문을 열면 녹조 해소에 도움이 되지만, 이럴 경우 농업용수가 부족해지는 또 다른 문제가 생겨 결정이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낙동강의 양수장 설비를 개선하면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지만, 수천억 원의 예산이 필요해 국회 문턱을 넘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임희자 /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 : 이런 시설(양수장)들을 고쳐야 농민들도 농사를 마음 놓고 짓고, 수문 관리를 통해서 녹조를 억제할 수 있는 조건이 됩니다.] <br /> <br />낙동강의 수질을 둘러싼 오랜 논란. <br /> <br />정부와 정치권의 관심이 없다면 매년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YTN 차상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90118092578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